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야기

해외선물 종목코드

해외선물의 종목코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가끔 해외선물을 이용하면서 종목코드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거같습니다

 

 

해외선물옵션의 상품은 상품명 외에도 각각의 고유 상품코드가 존재합니다

상품코드를 알아두면 보다 쉽게 구분 및 조회가 가능하며 상품명을 생락하고 코드로 표기하는 경우에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만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월물"이라는 개념이 공통적으로 존재합니다

상품코드에 따라 월물이 알파벳과 숫자로 표기 되어 있으며, 월물코드는 선물 옵션에 공통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알아두시면 편리하게 선물거래에 임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선물의 경우 종목을 표기할 때 다음과 같이 상품코드+월물코드+연도코드 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순서대로 정보를 기입만 한다면 내가 찾는 종목에 대해서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난해한 종목코드 때문에 난감해 하기도 하는데 천천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선물의 투자자라면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은 해외선물 종목코드의 순서입니다

 

-상품코드

우리나라에서 자주 거래되는 해외선물 상품코드 몇개를 예시로 들어보았습니다

가장 많이 거래되는 S&P500은 코드가 ES이고, nasdaq100 지수는 NQ입니다

앞서 살펴본 크루드 오일은 CL, 골드는 GC이고 일본엔은 JY입니다

 

-월물코드

월믈코드는 한자리 알파벳으로 1월부터 12월까지 코드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F G H J K M N O U V
11월 12월                
W Z                

 

-연도코드

연도코드는, 만기연도를 표시하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나스닥 지수인 NQM22 = 나스닥 NQ / 6월물 M / 2022년을 의미하는 22

 

를 의미하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ex) CLW23 = CL (crude oil) / W 11월 / 23 = 2023

CLW23 은 2023년도 11월이 만기인 원유선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해외선물에 대해 좀더 알고싶으신분들은 자유로운 문의 바랍니다